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이야기

일본어자격증종류 그리고 취업

by ★▲▽☆ 2019. 5. 7.
반응형


현재 일본은 우리나라와 반대로 기업에서 일할 인력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의 많은 인재들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일본기업에 취업하고 싶어도 소통 즉, 언어가 통하지 않은다면 많은 불편함을 느낄겁니다. 그러기 위해서 일본어를 많이 공부하고 또 일본어자격증까지 취득한다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그럼 지금부터 일본어 자격증 종류에는 어떤것이 있는지 그리고 더 나아가 취업에 대해서까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첫번째, JLPT 일본어 능력시험 입니다. JLPT는 일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을 기준으로 합니다. 일본 국내시험은 일본국제교육지원협회가 주최하며, 해외시험은 일본국제교류기금이 주최를 합니다.

시험의 구성은 N1~N5 까지 5개로 나누어집니다. N1~N3은 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독해,청해 이렇게 3과목으로 나누어지며, N4~N5은 언어지식, 청해 두과목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두번째 JPT 시험입니다. JPT 시험은 우리나라 한국토익위원회에서 주관하는 일본어 시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앞서 말한 JLPT와 같은 국제적 공신력은 인정 받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JPT의 구성은 청해와 독해 각각 100문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급수체계가 아니라 점수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만점은 990점 입니다.



세번째, BJT비지니스일본어 능력테스트입니다. 이 자격증은 평소에 잘 알려지지 않은 자격증으로써, 비지니스일본어를 테스트 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꽤 있는편입니다. 

시험을 본 후 결과는 0~800점 점수로 채점되며 J1+~J5로 평가됩니다. 아무래도 BJT시험은 커뮤니케이션에 관련된 시험이다보니 취업후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마지막, J-TEST 실용일본어 검정 입니다. 실용일본어 검정은 객관적으로 일본어능력을 측정 할 수 있으며 연 6회 시험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청해시험의 비중이 높습니다.

매 시험마다 난이도가 같기 때문에 자신이 실력이 얼마나 향상되었는지 평가 할 수 있습니다. 레벨은 A~D레벨, E~F레벨이 있습니다. 또 일본 입국관리국 제출서류로도 인정되고 있습니다.



위에 말씀드린 일본어 자격증 종류 중에 JLPT - N3이상 그리고 BJT정도 취득을 하신다면 일본기업에 취업 후 근무하시는데 큰 지장은 없습니다. 

그리고 어떤 분야의 취업을 하느냐에 따라 자격증명을 요구할 수 있고 요구 안할 수도 있지만 만약을 대비해 미리 취득하시는게 좋습니다.


반응형